언어/HTML 문법4 4편 목차 태그 - HTML 문법 4편 목차 목차의 태그는 list의 앞글자 로 사용한다 목차 끼리의 구분 할수있도록 경계를 둘때는 unordered list 의 약자인를 사용한다 아래코드는 순서가 없기에 직접 사용자가 숫자도 써서 순서를 나타냈다 위 코드처럼 태그 밑에는 태그가 띄어져있는걸 볼수 있다 이때 태그는 태그의 부모태그라고 하고 태그는 태그의 자식태그라고 한다 순서가 있는 목차를 생성하고 싶을때는 order list의 약자인 태그를 사용하면 된다 위 코드를 보면 굳이 태그를 사용할때는 1. , 2. , 3. 과 같은 숫자를 쓸필요도 없고 나중에 목록이 엄청 많아졌을때 하나의 목록을 빼고 싶다면 태그를 사용했을때처럼 일일이 고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021. 8. 2. 3편 사진 넣기 - HTML 문법 3편 사진 넣기 이미지는 image 의 약자 태그를 사용한다 하지만 태그만 넣게 되면 무슨 이미지인지 어떻게 알수 있을까? 그래서 생겨난게 속성(attribute)이라고 하는 source 의 약자 src 가 등장했다 의 형식으로 적으면 다음 사진과 같이 이미지를 넣을 수 있다 사진의 크기를 조절하고 싶다면 width = "100%" 와 같은 형식으로 조절 할수 있다 마무리하자면 src 와 width 와 같은 속성은 태그만으로는 정보가 부족할때 사용하는 문법이다 2021. 8. 2. 2편 줄바꿈 <br> 과 <p> 의 차이점 - HTML 문법 2편 줄 바꿈 과 의 차이점 줄을 바꾸고 싶을때는 태그를 사용하면 된다 같은 경우에는 무언가를 감싸야하는 내용이 없기 때문에 닫히는 태그는 없다 또 줄을 바꿀수 있는 태그는 가 존재한다 하지만 과 다르게 태그는 단락을 기준으로 나누기 때문에 닫히는 태그인 가 꼭 필요하다 문락을 기준으로 나누긴 하는데 문락과 문락 사이에 간격이 고정되어있기에 사용자가 직접 간격을 조절할수 있는 에 비해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이 불편함은 CSS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데 위 코드처럼 p 태그안에 style="magin-top:100px;"을 덧붙여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CSS 기술을 통해 단락을 나누는 경우라면 보다는 태그가 훨씬 더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2021. 8. 1. 1편 태그 - HTML 문법 1편 태그 2021년 8월 1일 html 공부 시작 Atom을 사용해 웹브라우저에 띄우면서 직접 공부해보려고 한다 화면을 절반으로 나눠서 오른쪽에는 코딩을 왼쪽에는 브라우저를 키고 즉각적으로 결과를 볼수 있도록 구성했다! 다른 언어처럼 print 이런거 쓸 필요 없이 글자를 쓰고 싶으면 바로 치면 된다 굵게 자신이 원하는 글자를 진하게 강조하고 싶다면 시작하는 글자 앞에 을 붙이고 마지막 글자 뒤에 을 붙이면 된다 나는 내가 살고있는 광주광역시를 강조 해보겠다 밑줄 또 광주에 밑줄을 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때는 underline의 앞글자를 따서 와 을 붙여주면된다 제목 제목은 heading의 약자로서 ~ 까지 나뉘는데 숫자가 커질수록 제목의 중요도가 낮아서 크기도 작아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태그 이.. 2021. 8. 1. 이전 1 다음